생체 의학 응용 분야의 형상 기억 합금
1 소개
1.1 배경 정보
형상 기억 합금(SMA)은 열탄성 및 마르텐사이트 상변환과 그 반전을 통해 형상 기억 효과(SME)를 나타내는 두 개 이상의 금속 원소로 구성된 재료입니다. 형상 기억 합금은 형상 기억 소재 중 가장 뛰어난 형상 기억 성능을 가진 소재입니다. 현재까지 형상 기억 효과가 있는 합금은 50종 이상이 발견되었습니다.
형상 기억 합금은 형상 기억 효과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형상 기억 합금으로 만든 스프링을 뜨거운 물에 넣으면 그 길이가 즉시 늘어납니다. 찬물에 넣으면 즉시 원래 모양으로 돌아갑니다. 형상 기억 합금 스프링은 욕실 배관의 수온을 조절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수온이 너무 높아지면 "기억" 기능이 물 공급을 조절하거나 차단하여 화상을 방지합니다. 또한 화재 경보 장치와 전기 장비의 안전 메커니즘을 만드는 데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화재가 발생하면 형상 기억 합금 스프링이 변형되어 화재 경보 시스템이 작동하여 경고 목적을 달성합니다. 또한 형상 기억 합금으로 만든 스프링을 난방 밸브 내부에 배치하여 온도가 너무 낮거나 높아지면 밸브를 자동으로 열거나 닫아 실내 온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형상 기억 합금의 형상 기억 효과는 다양한 온도 센서 트리거에도 널리 적용됩니다.
그림 1 니티놀 의료 응용 분야
형상 기억 합금의 또 다른 중요한 특성은 의사 탄성 (초 탄성이라고도 함)으로, 외력 하에서 일반 금속보다 훨씬 더 큰 변형 복구 능력으로 나타납니다. 즉, 적재 중에 발생한 큰 변형은 하역 시 회복됩니다. 이 특성은 의학, 건물 진동 감소 및 일상 생활에서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앞서 언급한 인공 뼈, 뼈 고정 압력 장치, 치과 교정 장치 등이 있습니다. 형상 기억 합금으로 만든 안경테는 일반 소재보다 훨씬 큰 변형에도 깨지지 않고 견딜 수 있습니다(이는 변형 후 열을 가하면 모양이 복원되는 형상 기억 효과 때문이 아닙니다).
형상 기억 합금(SMA)은 인공 뼈, 뼈 고정 압력 장치, 치과 교정 장치, 다양한 혈관 내 스텐트, 색전술 장치, 심장 수리 장치, 혈전 필터, 중재적 가이드 와이어, 수술 봉합사 등 임상 의료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습니다. 형상 기억 합금은 현대 의학에서 대체할 수 없는 역할을 합니다. 형상 기억 합금은 우리 일상 생활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형상 기억 합금(SMA)의 개발은 1932년 아르네 올란더가 금-카드뮴 합금에서 '기억' 효과를 발견한 데서 시작되었습니다. 1963년 미국 해군 병기 연구소의 뷜러 연구팀은 니켈-티타늄 합금에서 전이 온도 이하에서 소성 변형된 재료가 열 활성화된 마르텐사이트 역변형으로 인해 임계 온도(예: 40°C 이상) 이상으로 가열되면 자발적으로 원래 모양을 되찾는 현상을 확인했습니다. 1969년 항공기 유압장치의 누출 방지 NiTi 파이프라인 커플링과 아폴로 11호 임무 중 태양열에 의해 자체 팽창하여 페이로드 제약을 극복한 사전 변형된 NiTi 달 안테나를 통해 산업적 돌파구가 마련되었습니다. 이후 연구에서는 구리 및 철 기반 SMA와 함께 다성분 NiTi 시스템(예: TiNiCu, TiNiFe)을 개발하여 생의학, 에너지 및 자동화 분야에서 혁신적인 애플리케이션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그림 2 니티놀 결정 구조
Ti-Ni 기반 형상 기억 합금은 모든 종류의 형상 기억 합금 중에서 가장 유용합니다. 니켈-티타늄 합금의 독특한 특성은 오스테나이트 상(고온/무부하 상태, 입방체 구조 안정)과 마르텐사이트 상(저온/부하 상태, 육각형 구조 쉽게 변형 가능) 사이의 가역적 상 변환에서 비롯됩니다. 핵심 특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형상 기억 효과(마르텐사이트 변형 후 임계 온도까지 가열하면 모상 형상이 복원됨), 비선형 초탄성(응력에 의한 마르텐사이트 상 변형으로 8% 회복 가능한 변형률 가능, 후크의 법칙의 한계 돌파), 구강 온도 민감성(온도 상승에 따라 교정력 증가), 치아 이동을 가속화하지만 정밀한 제어가 어려움), 우수한 생체 적합성(표면 티타늄 산화물이 니켈 이온 방출을 억제), 부드러운 진동 감쇠 교정력(언로딩 커브 플랫폼이 평평하고 진동 진폭이 스테인리스 스틸 와이어의 50%에 불과함). 위상 변환 조절을 기반으로 교정용 아치 와이어는 5세대에 걸쳐 발전해 왔습니다: 전통적인 금속 와이어(1940년대) → 마르텐사이트 안정화 합금(1960년대, 낮은 강성, 메모리 없음) → 오스테나이트 활성화 합금(1980년대, 일정한 힘 초탄성) → 마르텐사이트 활성화 합금(1990년대, 체온 유발 형상 기억 및 초탄성, "상온 성형 구강 내 활성화" 달성) → 열역학적으로 최적화된 합금(2000년대, 40°C 이상 활성화, 치주 질환 환자에게 매우 약한 지속력 제공).
1.2 의료 분야에서 SMA의 매력
의료 분야에서 형상기억합금(SMA)의 매력은 재료 특성과 임상 요건 간의 독특한 시너지 효과에 있습니다.
니티놀(NiTi)로 대표되는 의료용 SMA는 거의 동일한 성분(니켈 50%, 티타늄 50%)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정밀한 조성 조정을 통해 초탄성 및 형상 기억 효과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초탄성 니티놀은 응력 유발 마르텐사이트 변형을 거쳐 최대 8.0%의 회복 가능한 변형을 제공합니다(그림 1). 응력-변형률 곡선은 뚜렷한 고원을 나타내며 기존의 의료용 316 스테인리스 스틸보다 뛰어난 성능을 발휘합니다.
주요 임상적 장점은 세 가지 차원을 포괄합니다:
1. 기능적 혁신: 초탄성 덕분에 최소 침습 장치(예: 혈관 스텐트, 필터)에서 소형화 및 자체 확장이 가능합니다;
2. 생체 적합성: 표면에 최적화된 니티놀은 임플란트에 대한 생물학적 안전 기준을 충족합니다.
3. 수술 발전: SMA 구동 장치(예: 교정용 아치 와이어, 심장/신경 혈관 폐색기)는 시술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면서 조직 외상을 줄여줍니다.
특히 중재적 방사선학에서 니티놀의 초탄성은 기기의 유연성, 꼬임 저항, 동적 생체 내 적응과 같은 중요한 문제를 해결하여 최소 침습 치료의 혁신적인 발전을 이끌고 있습니다. 이 백서에서는 니티놀 임플란트의 의료 적용 잠재력과 위험 관리 전략에 대해 자세히 살펴봅니다.
그림 3 니티놀 스텐트 배치 현황
2 생체 의료용 형상 기억 합금의 기초
2.1 주요 유형 및 구성 요소
니켈-티타늄 기반 합금, 특히 거의 동위 원소 조성(50 at.% Ni-Ti)의 이원 니티놀(NiTi)은 고유한 초탄성(회복 변형률 ∼8%)과 열 활성화 형상 기억으로 인해 의료용 SMA의 초석을 구성합니다. 삼원 합금 시스템은 임상적 한계를 해결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NiTiNb는 변형 히스테리시스(ΔT≈30-100°C)를 확장하여 뼈 고정 장치의 치수 안정성을 높이고 열 변동에 저항하며, NiTiCu는 히스테리시스(ΔT≈2-10°C)를 좁혀 기계적 반응을 정밀하게 제어하여 혈관 스텐트에서 밀리미터 단위의 방사형 힘 조절이 가능하며, NiTiCr는 피팅 전위(+0.2V)를 높이고 패시베이션 층을 강화하여 니켈 이온 방출을 억제하여 알레르기 위험을 완화합니다. 반면 구리 기반 합금(예: Cu-Al-Ni, Cu-Zn-Al)은 비용 효율성과 전이 온도 조절이 가능하지만 입계 취성(피로 수명 <10^4 사이클) 및 세포 독성 구리 이온 방출로 인해 임플란트 사용에 제한이 있습니다. 철 기반 시스템(예: Fe-Mn-Si)은 강도와 경제성이 높지만, 낮은 회복 변형률(2% 미만)과 가역적 초탄성 부재로 인해 현재까지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적용 사례가 없는 탐색적 비하중 지지 장치에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표 1 다양한 재료로 만든 형상 기억 합금의 특성 비교
분류 |
일반적인 합금 |
핵심 특성 최적화 방향 |
의학적 가치 및 한계 |
니켈-티타늄 기반 합금 (니켈-티타늄 기반) |
바이너리 NiTi |
초탄성(~8% 회복 변형률) 형상 기억 효과(Af 온도 트리거) |
생체 적합성이 우수한 주류 임상 재료(표면 TiOx 장벽이 니켈 방출을 방지함) |
구리 기반 합금 (구리 기반) |
NiTiNb |
상전이 지연 온도 확대(ΔT≈30-100℃) |
임플란트의 치수 안정성 향상(정형외과용 나사의 풀림 방지 등) |
NiTiCu |
지연 효과 감소(ΔT≈2-10℃) |
기계적 반응 정확도 향상(혈관 스텐트의 반경 방향 힘 제어) |
|
NiTiCr |
내식성 향상(피팅 전위 ↑0.2V) 니켈 이온 침전 억제 |
장기적인 임플란트 독성 위험 감소(특히 니켈에 알레르기가 있는 환자의 경우) |
|
Cu-Al-Ni |
저렴한 비용 높은 상 변화 온도(>100℃) |
제한 사항 결정 경계 취성 → 낮은 피로 수명(<10^4 사이클) 구리 이온 독성 → 조직 염증(임상적으로 금지됨) |
|
Cu-Zn-Al |
뛰어난 처리 성능 상전이 온도 조절 가능(-50~100℃) |
||
철 기반 합금 |
Fe-Mn-Si |
고강도(>500MPa) 저렴한 비용 |
한계 낮은 회수 변형률(<2%) → 기능 장애 발생 상전이 비가역적 → 초탄성 없음(일회용 디바이스로 제한) |
2.2 핵심 특징 및 메커니즘
마르텐사이트 상변환은 비확산성 상변환으로 변위형 상변환이라고도 합니다. 엄밀히 말하면 변위형 상 변태에서는 전단 변형을 통해 원자 변위가 발생하고 거시적 탄성 변형을 통해 두 상 사이의 계면이 유지되어 연속성과 일치성을 보장하며 변형 에너지가 상 변태 동역학 및 상 변태 생성물의 형태를 변경하기에 충분한 경우에만 마르텐사이트 상 변태로 인정됩니다. 과거에 수많은 학자들이 제안한 마르텐사이트 상변환의 정의를 바탕으로 쉬쭈야오는 다음과 같은 간단한 정의를 제안했습니다. 원자가 확산(즉, 구성이 변하지 않고 이웃 원자 간의 관계가 변하지 않음) 및 전단(즉, 모상 및 마르텐사이트가 위치 관계에 있음) 없이 대체되어 모양이 변경되는 상변환입니다. 여기서 상 변환은 핵 형성 및 성장을 수반하는 1차 상 변환(발열 반응 및 팽창과 같은 열과 부피의 급격한 변화를 특징으로 함)을 의미합니다.
마르텐사이트는 강철에서 처음 발견되었는데, 강철을 특정 온도까지 가열한 후 급격히 냉각하면 강철을 단단하게 하고 강화하는 담금질 구조를 형성합니다. 1895년 프랑스인 오스몽은 독일의 야금학자 마르텐스를 기리기 위해 이 구조에 마르텐사이트라는 이름을 붙였습니다. 처음에는 강철에서 오스테나이트에서 마르텐사이트로의 상 변환만 마르텐사이트 변환이라고 불렀습니다. 20세기 이후 강철에서 마르텐사이트 상변환의 특성에 대한 광범위한 지식이 축적되었습니다. 그 후, 특정 순수 금속 및 합금도 다음과 같은 마르텐사이트 상 변형을 나타낸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Ce, Co, Hf, Hg, La, Li, Ti, Tl, Pu, V, Zr, 그리고 Ag-Cd, Ag-Zn, Au-Cd, Au-Mn, Cu-Al, Cu-Sn, Cu-Zn, In-Tl, Ti-Ni 등입니다. 마르텐사이트 상변환과 유사한 기본 특성을 가진 상변환의 생성물을 통칭하여 마르텐사이트라고 합니다.
마르텐사이트 상변형은 열적 및 체적 효과를 나타내며, 핵의 형성과 성장을 포함하는 변형 과정을 거칩니다. 그러나 이러한 핵이 어떻게 형성되고 성장하는지를 설명할 수 있는 완전한 모델은 아직 없습니다. 마르텐사이트의 성장 속도는 일반적으로 빠르며, 일부는 최대 10cm-s에 달하기도 합니다. 모상에서의 결정 결함(전위 등)의 구성이 마르텐사이트 핵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측됩니다. 그러나 현재 실험 기술로는 상 계면에서의 전위 구성을 관찰할 수 없기 때문에 마르텐사이트 상 변환의 전체 과정은 여전히 불분명합니다. 마르텐사이트 상변환의 특성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습니다:
마르텐사이트 상변환은 비확산성 상변환 중 하나입니다. 변환하는 동안 인터페이스를 가로질러 원자가 무작위로 걷거나 정렬된 호핑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따라서 새로운 상(마르텐사이트)은 모상의 화학적 조성, 원자 순서 및 결정 결함을 상속받습니다. 마르텐사이트 상 변환 과정에서 원자는 이웃 원자와의 상대적 위치를 유지하면서 질서 정연한 변위를 겪습니다. 이 변위는 전단형 변위입니다. 원자 변위의 결과는 격자 변형(또는 변형)입니다. 이 전단 변위는 상위 단계의 격자 구조를 변경할 뿐만 아니라 거시적인 모양 변화를 일으킵니다. 그림 3a의 PQRS와 같이 연마된 시편의 표면에 직선을 먼저 그리고 시편의 일부(A1B1C1D1-A2B2C2D2)가 마르텐사이트 상 변환(마르텐사이트 형성)을 거치면 PQRS 직선은 세 개의 연결된 직선으로 접힙니다: PQ, QR', R'S'. 2상 인터페이스의 A1B1C1D1 및 A2B2C2D2 평면은 변형이 없고 회전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며, 이를 습관(강수) 평면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모양 변화를 일정한 평면 변형이라고 합니다(그림 3). 형상 변화로 인해 미리 연마된 시료의 표면에 돌출부가 형성됩니다. 고탄소강에서 마르텐사이트가 형성되면 마르텐사이트와 교차하는 표면에서 기울어짐이 발생하여 표면 돌출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간섭 현미경으로 돌출부의 높이와 날카로운 모서리를 볼 수 있습니다.
형상 기억 효과란 마르텐사이트 상변환을 거친 합금의 변형 후 오스테나이트 상변환 완료 온도(Af)까지 가열하면 저온의 마르텐사이트가 고온의 모상으로 역전되어 변형 이전의 원래 모양으로 돌아가거나, 이후 냉각 시 내부 탄성 에너지 방출을 통해 마르텐사이트 모양으로 돌아가는 현상을 말합니다. 특정 조건에서 소성 변형을 거친 후 특정 온도로 가열하면 변형 전의 원래 모양으로 완전히 돌아가는 특정 형상을 가진 고체 물질입니다. 즉, 상위 단계의 모양을 기억할 수 있습니다.
마르텐사이트 변형은 열탄성 가역적 결정 재구성 메커니즘을 통해 형상 기억 효과의 물리적 토대를 구성합니다. 마르텐사이트 시작 온도(Ms) 이하로 냉각되면 고온 오스테나이트 상(입방 격자)은 확산 없는 전단을 거쳐 전이성 마르텐사이트(단사/육각형 격자)를 형성하여 거시적 형태 변화 없이 자기 수용성 쌍둥이를 생성합니다. Mf 이하의 외부 응력은 트윈 경계 이동과 변형 방향 전환을 유도하여 최대 8%의 유사 플라스틱 변형을 생성합니다. 이후 오스테나이트 시작 온도(As) 이상으로 가열하면 역변형을 위한 원자 협력 변위가 발생하고, 결정 구조 회복이 형상 기억 효과의 핵심인 거시적 형상 복원을 주도합니다. 이 과정은 세 가지 중요한 속성에 의존합니다:
가역성(거의 0에 가까운 격자 왜곡 에너지 ΔG로 경로 고유성 보장);
좁은 히스테리시스(10~30°C의 NiTi 합금에서 정밀한 체온 활성화 가능);
비파괴 변형(트위닝이 전위 슬립을 대체하여 영구적인 손상을 방지). 의학적으로 이 메커니즘을 통해 자가 팽창 스텐트는 체온에서 미리 정의된 구성을 회복할 수 있으며, 마르텐사이트 트윈 재배열은 생리적 하중 진동을 흡수합니다(예: 교정 와이어의 50% 더 높은 감쇠). 또한 주기적 안정성(>10^7 사이클)은 심장 판막과 같은 임플란트에서 장기적인 신뢰성을 보장합니다.
그림 4 형상 기억 효과
2.3 주요 성능 파라미터
의료용 NiTi 합금의 임상적 생존력은 생체 적합성, 기계적 특성, 제조 공정 및 멸균 호환성의 시너지 효과에 달려 있습니다. ISO 10993에 따라 생체 적합성은 니켈 이온 방출 억제(표면 TiO2 패시베이션으로 침출을 0.1μg/cm^2/주 이하로 감소)에 중점을 두고 세포 독성(세포 생존율 90% 이상), 민감성(패치 테스트 ≥95% 음성) 및 용혈(5% 미만)로 검증됩니다. 심혈관 스텐트는 매우 높은 회전 굽힘 피로 수명(>4×10^8 사이클 @37°C)이 필요하고, 관절 임플란트는 내마모성(<0.1mm3/Mc 마모율)과 초탄성 강성(0.5-3 GPa)이 숙주 조직 역학과 정확하게 일치해야 합니다. 제조에는 순도(내포물 크기 ≤5μm)를 높이기 위한 진공 아크 재용융(VAR), 변형 온도(Af±2°C)를 조정하기 위한 냉간 인발 + 에이징, 낮은 거칠기(Ra<0.05μm)로 미크론 규모의 피처(스텐트 스트럿 80-150μm)를 얻기 위한 레이저 절단/전기 연마 기술이 사용됩니다. 말단 멸균(에틸렌 옥사이드/감마선 조사)은 기능 저하 없이 상전이 드리프트를 1°C 미만으로 제한해야 합니다.
3 생의학 분야에서의 응용 분야
3.1 정형외과
현재 정형외과 수술에서는 주로 티타늄 합금으로 만든 고정 강판을 사용합니다. 하지만 티타늄 합금은 자기 적응성과 초탄성 특성이 부족하고 뼈와의 밀착성이 떨어집니다. 반면, 4D 프린팅 니켈-티타늄 형상 기억 합금은 자가 적응 기능이 있어 뼈에 비교적 완벽하게 밀착되는 동시에 지지 및 복구 기능을 모두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형상 기억 합금 정형외과용 수리 재료는 단순한 평면 판이 아니라 표면에 미세한 구멍이 촘촘히 뚫려 있어 영양분 교환을 촉진하고 뼈의 성장과 회복을 촉진합니다. 여러 개의 4D 프린팅 니켈-티타늄 적응형 부품을 골종양 지원 환자에게 임상적으로 이식하여 유망한 임상 결과를 얻었습니다.
뼈 결함 복구에는 인장 강도 625.6MPa, 연신율 14.67%, 변형 회복률 99.51%의 등급별 다공성 구조 NiTi 스캐폴드가 사용됩니다. 미세 입자 강화(입자 크기 ~20.5 μm)는 전위 밀도와 시너지 효과를 내어 높은 변형률에서 에너지 흡수를 달성합니다. 관절 교체 및 수리: 비구 컵 고정 장치, 인공 관절 부품(마모와 피로에 초점을 맞춘 탐색 중), 골 결손 필러(다공성 SMA).
척추 수술 분야에서 형상 기억 합금(SMA), 특히 니켈-티타늄(NiTi) 합금은 동적 정형외과와 최소 침습적 융합 기술의 혁신을 주도해 왔습니다. NiTi 정형외과용 막대는 2단계 형상 기억 효과를 통해 정밀한 교정을 달성합니다. 마르텐사이트상의 저온에서는 수술에 적합하도록 소성 변형이 일어나고, 체내에 이식되면 체온이 오스테나이트상 변형을 유발하여 미리 설정된 곡률을 복원하고 축방향 교정력을 지속적으로 가합니다(예: 직경 6mm 막대는 40°C에서 약 200N의 힘을 생성하고 9mm 막대는 500N에 달함). 동물 실험(염소 모델)에서는 미리 구부러진 NiTi 막대가 신경 손상 없이 척추 측만증 각도를 41°에서 11°로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인간 사체 연구에서는 관상, 시상, 회전 변형을 동시에 교정할 수 있는 능력이 추가로 확인되었습니다. 임상 혁신 설계 측면에서 직사각형/사각형 막대는 회전 방지 기능을 강화하여 4년 추적 관찰 기간 동안 재발 없이 콥 각도를 57.8°에서 17.8°로 교정하고, 체온 유발 시스템은 무선 주파수 펄스(450Hz)를 사용하여 국소 가열을 유도하므로 기존의 열 손상과 관련된 위험을 피할 수 있습니다.
추간체 융합 장치의 개발은 최소 침습적 이식과 장기적인 안정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NiTi의 상변환 특성을 활용하여 융합 장치는 저온 마르텐사이트 상태(예: 얼음물 환경)에서 압축 변형을 겪을 수 있으며 체온 유발 오스테나이트 상변환을 통해 추간 공간에 이식된 후 자동으로 원래 높이로 복원됩니다. 다공성 구조 최적화 측면에서 선택적 레이저 용융(SLM) 기술을 사용하여 생성된 다이아몬드 모양의 격자(다공성 70-72%, 단위 격자 1.5mm)는 혈관 생장을 크게 촉진합니다. 접촉 영역은 마르텐사이트 상(낮은 탄성 계수)으로 설계되어 엔드플레이트 응력 차폐를 효과적으로 줄입니다. 또한 융합 장치의 가장자리에 있는 '잠금 톱니' 구조는 형태 회복 중에 엔드플레이트에 매립되어 1800N의 변위 방지 강도를 달성하여 고정용 보조 나사나 막대가 필요하지 않으며 수술 절차를 더욱 간소화합니다.
골절 치료 분야에서 형상 기억 합금(SMA)은 동적 압박, 최소 침습 이식, 생체 역학적 적응 기술을 통해 고정 결과와 환자 예후를 크게 개선했습니다. 연속 압축형 골수강 내 못은 NiTi 합금의 이중 단계 형상 기억 효과를 활용합니다. 저온 마르텐사이트 상태에서 사전 변형된 후 골강에 이식됩니다. 체온으로 재가열되면 원래 모양으로 돌아가 축 방향 압축 응력(0.5-1 MPa)을 발생시켜 골 캘러스 형성을 가속화합니다. 임상 비교 연구에 따르면 기존 강판과 비교했을 때 NiTi 골수강 내 못 그룹은 골절 치유 시간을 25% 단축하고 불유합률을 0.9%로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최소 침습적 특성(예: 소아 사지 골절의 경우 2cm 절개를 통한 이식, 골 수강의 가장 좁은 지점의 2/5에서 직경 선택)은 수술 후 관절 운동 범위를 30%까지 개선합니다.
자가 압축 골 나사 및 골 이식편은 위상 변화 메커니즘을 통해 능동적 고정을 달성합니다. 뼈 나사는 마르텐 사이트 상태에서 뼈에 나사로 고정되고 재가온 후 방사상으로 팽창하여 계면 응력이 40 % 증가하고 유지력이 크게 향상되며, TiNi 링 고정기를 흉골 고정에 사용하면 수술 후 VAS 통증 점수가 5.17 ± 1.14 (기존 그룹의 7.65 ± 1.08)로 감소합니다. 입원 기간이 6일 단축됩니다. 또한 생분해성 마그네슘 합금 골 고정 장치(탄성 계수 45 GPa, 피질골과 유사)는 뼈 치유 주기(6개월 추적 관찰 시 100% 치유율)에 맞춰 2차 제거 수술이 필요하지 않으며 골절 고정에 생분해성 재료를 실용화하는 새로운 방향을 제시합니다.
NiTi에 최적화된 잠금 압박판(LCP)은 생체역학적으로 조정된 설계를 통해 골다공증 환자의 고정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NiTi 코팅 플레이트는 단일 피질 고정(골절 끝의 양쪽에 나사 2개)을 가능하게 하여 나사 밀도를 50% 줄이고 '내부 고정 발판' 효과를 통해 분쇄 부위를 연결했으며, 최소 침습 임플란트 기술(MIPPO)과 결합하여 미리 구부러진 LCP 플레이트를 근육 아래에 삽입하고 경피적 나사로 고정하여 혈액 공급 중단을 70%까지 줄여 특히 원위 경골과 같이 혈액 공급이 좋지 않은 부위의 골절에 적합했습니다.
형상 기억 합금(SMA)은 독특한 형상 기억 효과와 초탄성으로 인해 정형외과 분야에서 동적 교정부터 생체 적합성까지 획기적인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척추 교정에서 NiTi 합금은 저온 마르텐사이트 상태에서 소성 변형된 교정봉을 피하 터널을 통해 이식하고 체온이 오스테나이트 상 변형을 유발하여 미리 설정된 곡률을 복원하는 이중 단계 형상 기억 효과를 통해 정밀한 치료를 달성하여 200-500N의 축 방향 교정력(직경 6-9mm)을 생성합니다. 직사각형/정사각형 디자인과 결합하여 회전 방지 기능을 강화(예: 왕 시스템은 Cobb 각도를 57.8°에서 17.8°로 감소)하여 관상, 시상, 회전 변형을 동시에 교정하고, 고주파 펄스 가열 기술(450Hz)로 열 부상 위험을 더욱 최소화합니다. 추간체 융합 장치는 최소 침습적 이식을 위해 상변환 특성을 활용합니다: 저온 압축 후 부피가 40% 감소하고 추간 공간에 이식 후 높이가 자동으로 회복되며, 레이저 선택적 용융으로 제조된 다이아몬드 모양의 다공성 구조(다공성 70-72%)는 혈관 성장을 촉진하고 마르텐사이트 접촉 영역은 엔드 플레이트 응력 차폐를 줄이며 가장자리 '잠금 치아'는 보조 고정 없이 1800N의 변위 방지 강도를 제공합니다.
골절 고정 분야에서 SMA는 동적 압박과 생체역학적 적응을 통해 치료 효과를 크게 최적화합니다. 사전 변형된 NiTi 골수강 내 못은 체온에서 원래 상태로 돌아가 0.5-1 MPa의 축 방향 압축 응력을 발생시켜 캘러스 형성을 가속화하며(치유 시간 25% 단축, 불유합률 0.9%), 소아 사지 골절에 2cm 절개를 통해 이식된 탄성 골수강 내 못은 수술 후 관절 운동 범위를 30% 개선합니다. 자가 압축 뼈 나사는 마르텐사이트-오스테나이트 상 변형을 활용하여 방사형 확장을 달성하고(계면 응력 40% 증가), TiNi 링 고정기는 흉골 고정 수술 후 VAS 점수를 5.17 ± 1.14로 낮추고(기존 그룹: 7.65 ± 1.08) 입원 기간을 6일 단축하며, 생분해성 마그네슘 합금 뼈 고정기(탄성 계수 45 GPa)는 6개월 이내에 완전히 흡수되어 100% 치유율을 달성하고 2차 수술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NiTi에 최적화된 잠금 압박판은 단일 피질 잠금(골다공증 환자의 경우)을 통해 나사 밀도를 50%까지 낮추고, MIPPO 기술과 결합하여 혈액 공급 중단을 70%까지 줄여 원위 경골 골절과 같은 복잡한 골절에 적합합니다.
핵심 장점은 재료 특성과 임상적 요구사항의 긴밀한 통합에 있습니다: 최소 침습적 이식(피하 터널을 통한 척추 교정봉, 40% 감소된 부피의 융합 장치)으로 신경 손상 위험 감소, 동적 압축 응력(BMP-2 발현 2배 증가)과 초탄성 감쇠(진동 진폭 스테인리스강의 50%)로 뼈 치유 미세 환경 최적화, 다공성 NiTi 융합 장치(탄성 계수 25-90 GPa) 및 생분해성 마그네슘 합금(새 뼈로 100% 하중 전달)으로 스트레스 차폐를 크게 줄입니다. 이러한 혁신은 상 변화 메커니즘, 구조 최적화 및 생분해성 기술을 통해 수동적 고정에서 능동적 조절로, 강성 지지에서 생체 적합성으로 도약하여 복잡한 골격 질환의 치료를 위한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그림 5 니티놀 척추봉 척추측만증 엑스레이 사진
3.2 심혈관 중재술
심혈관 중재술 분야에서 형상 기억 합금(SMA)은 초탄성 및 형상 기억 효과를 활용하여 혈관 스텐트, 폐색기 및 필터의 기술 혁신을 주도해 왔습니다. 초탄성의 대표적인 응용 분야인 자가 팽창 혈관 스텐트는 NiTi 합금의 상변환 특성을 활용하여 저온 마르텐사이트 상태에서 스텐트를 전달 시스템(직경 1~2mm)에 압축한 다음 카테터를 통해 환부에 전달함으로써 최소 침습적 치료를 가능하게 합니다. 체온이 오스테나이트 상 변형을 유발하여 스텐트가 자동으로 사전 설정된 직경(예: 관상동맥 스텐트의 경우 방사형 지지력 0.35 N/mm)으로 회복되므로 고압 풍선 팽창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레이저 절단 또는 직조 공정을 통해 유연성이 최적화되어 굽힘 강성이 0.3~0.5 N-m^2로 낮아 대동맥궁과 같은 복잡한 해부학적 구조에 적응할 수 있습니다. 또한 NiTi 합금의 피로 저항성(예: 1억 번의 맥동 사이클을 견디는 Eduratec 스텐트)은 장기적인 안정성을 보장하므로 말초 혈관, 관상동맥, 뇌혈관 및 대동맥을 포함한 다양한 위치에 적합합니다.
이 폐색기는 SMA의 이중 위상 형상 기억 효과를 활용하여 정밀한 치료를 달성합니다: 심방 중격 결손, 난원공 또는 동맥관 개존증 폐색기는 저온 마르텐사이트 상태에서 직선의 선형 모양을 갖습니다. 카테터를 통해 심장강으로 전달된 후 체온에 의해 디스크-허리-디스크 구조로 복원되며, 허리는 결손 부위에 삽입되고 이중 디스크는 좌우 심방/동맥 쪽을 고정하여 최소 침습적 폐색을 달성합니다. 임상 데이터에 따르면 NiTi 폐색기는 동맥관 개존증 환자의 수술 후 VAS 통증 점수를 2.1 ± 0.8(기존 수술의 5.3 ± 1.2에 비해)로 낮추고 입원 기간을 3일로 단축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초탄성 설계(변형률 회복률 99.2%)로 심장 수축과 이완의 동적 변형에 적응할 수 있어 잔류 션트의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하대정맥 필터는 NiTi 합금의 굽힘 저항성과 혈전 포집 기능을 통해 정맥 혈전색전증 치료를 최적화합니다. 필터는 전달 피복 내에서 압축된 상태로 유지되며, 풀리면 초탄성 덕분에 우산 모양의 구조로 복원됩니다. 필터 메쉬 조리개 디자인(일반적으로 1~2mm)은 혈전의 95% 이상을 차단하면서도 정상적인 혈류를 허용합니다. NiTi 합금의 피로 수명(예: 5년 추적 관찰 시 필터 파손률 <1%)은 장기적인 안전성을 보장하며, 낮은 탄성 계수(40-60 GPa)는 혈관벽 자극을 줄이고 정맥염 발생률을 낮춥니다.
이러한 장치는 SMA의 위상 변화 메커니즘과 구조 최적화를 통해 수동적 지지에서 능동적 적응으로, 개복 수술에서 최소 침습적 개입으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핵심 장점으로는 초탄성(예: 관상동맥 스텐트 굽힘 강성 0.4 N-m^2, 방사형 힘 0.35 N/mm)이 제공하는 유연성과 방사형 지지력 간의 균형, 형상 기억 효과를 통한 정확한 위치 및 배치(예: 폐색기 위치 오류 1mm 미만), 생체역학적 적응을 통한 장기 안정성(예: 5년 후 필터 개통률 98%)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혁신은 심혈관 질환에 대한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치료 옵션을 제공합니다.
그림 6 심장 폐색기
3.3 치과
구강 의학 분야에서 형상 기억 합금(SMA)은 초탄성 및 생체 적합성으로 인해 교정, 신경치료, 보철 및 악안면 수술 분야에서 기술 혁신을 주도해 왔습니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교정용 아치 와이어는 NiTi 합금의 초탄성을 활용하여 지속적이고 부드러운 교정력(0.5-1.5 N)을 제공함으로써 후속 방문 빈도를 크게 줄이면서(임상 데이터에 따르면 후속 방문 간격을 8-12주로 연장할 수 있어 기존 스테인리스 스틸 와이어보다 40% 개선) 환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킵니다(기존 와이어의 4.8 ± 1.1점 대비 시각적 아날로그 척도[VAS]가 2.3 ± 0.6으로 감소함). 상전이 온도가 다른 와이어를 치료 단계별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저온 마르텐사이트 상(Af <25°C) 와이어는 초기 교정 단계에 적합하며, 낮은 강성(탄성 계수 28 GPa)으로 치주 인대 손상을 줄이고, 오스테나이트 상(Af > 35°C) 와이어는 후기 단계에서 안정적인 교정력을 제공하여 99.3%의 변형률 회복률을 통해 치료 효과를 보장할 수 있습니다.
NiTi 근관 파일은 초탄성을 통해 치료 안전성을 최적화합니다: 기존의 스테인리스 스틸 파일은 높은 강성으로 인해 근관 이탈(발생률 12~18%)과 니들 파절(위험도 3~5%)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반면, NiTi 파일의 마르텐사이트 상변환 특성은 곡선 근관에서 유연성을 3배 향상시켜 30° 이상의 곡률을 가진 근관에도 적응할 수 있어 편차 발생률(<2%)과 니들 파절률(<0.5%)을 크게 줄입니다. 임상 연구에 따르면 NiTi 파일을 사용한 1회 방문 근관 치료의 성공률은 92%에 달하며, 특히 석회화되거나 좁은 근관에 적합한 스테인리스 스틸 파일에 비해 25%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의치 수복에 사용되는 NiTi 걸쇠와 커넥터는 초탄성을 통해 유지력과 편안함 사이의 균형을 이룹니다: 저온 마르텐사이트 상태에서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오스테나이트 상변환을 통해 재가열 후 사전 설정된 모양으로 돌아가 유지력이 3~5N으로 증가합니다(기존 코발트-크롬 합금의 경우 1~2N에 비해). 또한 낮은 탄성 계수(40-60 GPa)로 잇몸에 가해지는 압력이 감소합니다(점막 자극 지수가 60% 감소하여 보다 균일한 압력 분포). 커넥터는 직조 구조 설계로 피로 저항성이 뛰어나(10^5 사이클 후 파절 없음) 탈착식 부분 의치의 정밀 부착 시스템에 적합합니다.
악안면 수술에서 골절 고정 부목과 견인 장치는 최소 침습적 치료를 위해 SMA의 형상 기억 효과를 활용합니다. 부목은 저온에서 뼈 표면에 맞게 성형되고 재가온 시 상 변형이 50-100N의 고정력을 생성하여 기존의 와이어 결찰로 인한 연조직 손상을 방지하고, 견인 장치는 주기적인 온도 제어(예: 40°C에서 활성화 및 20°C에서 이완)를 통해 점진적인 뼈 세그먼트 조절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임상 사례에 따르면 하악골 골절 치유 시간이 6주(기존 방법의 경우 8~10주)로 단축되고 내부 고정 장치를 제거하기 위한 2차 수술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위의 애플리케이션은 SMA의 상전이 메커니즘과 임상적 요구를 깊이 통합하여 수동적 적응에서 능동적 조절로, 경직된 장치에서 유연한 적응으로 도약합니다. 핵심 장점으로는 초탄성(교정 교정력 오차 <0.2N), 형상 기억 효과를 통한 정밀한 형태 회복(링 위치 오차 <0.5mm), 생체 역학적 적응을 통한 향상된 치료 안전성(근관 치료 바늘 파손률 <0.5%)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혁신은 구강 질환 치료를 위한 보다 효율적이고 편안한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그림 7 니티놀 근관치료용 파일
3.4 인터벤션 방사선 및 최소 침습 수술
최소 침습적 중재 시술 및 외과 수술에서 형상 기억 합금(SMA)은 초탄성 및 형상 기억 효과를 통해 의료 기기의 기동성과 적응성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초탄성 가이드 와이어와 카테터는 NiTi 합금의 상변환 특성을 활용하여 복잡한 해부학적 구조에서 탁월한 성능을 발휘합니다: 가이드 와이어는 저온 마르텐사이트 상태에서 높은 유연성(굽힘 반경 1mm 미만)을 보여 관상동맥의 360° 나선형 코스에 적응할 수 있으며, 재가온 후 오스테나이트 상변형은 높은 파단 인성(파단 변형률 >8%)을 부여하고 가이드 와이어 말단의 "J"자형 설계와 결합하여 정밀한 토크 제어(토크 전달 효율 최대 95%)를 가능하게 합니다. 카테터는 레이저 절단 기술을 통해 팁 유연성을 최적화하여 5F 카테터가 경동맥의 굴곡진 부분(곡률 반경 2mm)을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합니다. 초탄성 스캐폴드는 "물고기 입 효과"로 인한 혈관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충분한 지지력(축 방향 강도 12N)을 제공합니다.
돌 바구니와 이물질 포셉과 같은 잡기 및 돌 회수 기구는 최소 침습적 시술을 위해 SMA의 이중 단계 형상 기억 효과를 활용합니다: 기구는 저온 마르텐사이트 상태에서 직선적인 선형 형태를 유지합니다. 내시경 채널을 통해 목표 부위로 전달된 후 체온에 따라 미리 설정된 바스켓 구조(예: 네 발톱 디자인)로 복원되어 직경 2~10mm 범위의 결석이나 이물질을 회수할 수 있습니다. 결석 회수율은 99.5%에 달해 한 번의 회수 성공률이 90%를 넘습니다. 임상 데이터에 따르면 NiTi 스톤 바스켓을 사용한 요관경 쇄석술(URSL)은 시술 시간을 25분(기존 방법의 경우 40분)으로 단축하고 수술 후 잔석률이 5%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동맥류 색전술 코일은 부분 형상 기억 효과를 통해 패킹 효과를 최적화합니다: 코일은 마이크로카테터(직경 0.015-0.021인치) 내에서 압축되며, 방출 시 초탄성(패킹 밀도 >30%)을 통해 동맥류의 형태에 맞게 조정됩니다. 또한 마르텐사이트 상 변환에 의해 생성된 복원력은 코일 변위의 위험을 줄여줍니다(1년 추적 관찰 시 재발률 2% 미만). 넓은 목 동맥류의 경우 3차원 직조 구조의 NiTi 코일을 스텐트 보조 기술과 결합하여 안정적인 "바구니"를 형성하여 색전술 밀도를 95%까지 높일 수 있습니다.
변형 가능한 내시경과 자가 확장 리트랙터는 SMA의 능동적 변형 기능을 통해 수술 과정을 간소화합니다. 내시경 삽입부는 미리 설정된 굽힘 각도(예: 90°)로 자동 복귀하는 NiTi 합금 나선형 튜브 구조를 사용합니다, 90°) 체온에서 자동으로 복귀하여 집도의가 수동으로 굽힘을 조정할 필요가 없으며, 자체 확장 리트랙터는 저온에서 압축 및 부하가 걸리고 해제 시 초탄성(확장 시간 5초 미만)으로 수술 영역을 빠르게 확장하여 기존 리트랙터로 인한 지속적인 조직 압박을 방지합니다(압력 분포 균일성 40% 개선). 이러한 설계는 복강경 담낭절제술(LC) 및 기타 수술에서 수술 공간을 30% 늘려 수술 시간을 35분(기존 방식은 50분)으로 단축합니다.
앞서 언급한 기기는 SMA의 위상 변화 메커니즘과 임상적 요구를 심층적으로 통합하여 수동적 작동에서 능동적 적응으로, 선형 제어에서 3차원 조절로 도약합니다. 핵심 장점으로는 접힘 방지 특성과 초탄성(스테인리스 스틸의 경우 와이어 파단 변형률 8% 대 3%)이 제공하는 유연성의 균형 잡힌 조합, 형상 기억 효과를 통한 정밀한 모양 복구(돌 바구니 위치 오차 1mm 미만), 생체 역학적 적응을 통한 최소 침습 효과(내시경 삽입 직경 2.8mm로 감소)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혁신은 복잡한 중재 및 수술 시술에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그림 8 니티놀 스톤 바스켓
6 결론
형상 기억 합금(SMA), 특히 니켈-티타늄(NiTi) 합금은 초탄성 및 형상 기억 효과(SME)로 인해 의료 분야에서 독특하고 대체 불가능한 가치를 입증하고 있습니다. 초탄성은 지속적이고 부드러운 교정력을 제공하며(예: 교정용 와이어는 후속 방문 횟수를 줄여줍니다), 심혈관 스텐트의 유연성을 최적화하는 등 복잡한 해부학적 구조에 잘 적응합니다. 한편 형상 기억 효과는 최소 침습적 이식과 의료 기기의 능동적 변형을 가능하게 합니다. 예를 들어 골절 고정 부목은 체온에서 압박 응력을 복원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은 기존 기기의 불충분한 강성, 복잡한 수술 절차, 낮은 장기적 효과 등 임상적 문제점을 직접적으로 해결합니다.
앞으로 생분해성 SMA(예: 마그네슘 합금)와 능동형 장치(예: 전기 구동 회복 장치)의 기술 혁신으로 SMA는 스마트 의료 기기, 개인 맞춤형 치료, 최소 침습 수술에서 더욱 혁신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며,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에 맞춘 3D 프린팅 스캐폴드와 생리적 신호에 실시간으로 반응할 수 있는 스마트 임플란트 등이 그 예가 될 것입니다. 이러한 발전은 의학이 '수동적 복구'에서 '능동적 조절'로의 전환을 더욱 촉진하여 궁극적으로 더 안전하고 효율적이며 개인화된 질병 치료를 실현할 것입니다.
관련 읽기:
참고 문헌
[1] Kinji. 사토, 히데아키. 고토, 노부히사. Tomita, 형상 기억 열처리 및 환경 온도의 개선을위한 형상 기억 형상 기억 합금의 성형 한계 개선, 편집자 : W.B. LEE, 공학 가소성의 발전과 그 응용, 엘스비어, 1993, 1117-1125 페이지, ISBN 9780444899910, https://doi.org/10.1016/B978-0-444-89991-0.50153-0.
[2] N.B Morgan, 의료용 형상 기억 합금 응용 분야-시장 및 제품, 재료 과학 및 공학: A, 378권, 1-2호, 2004, 16-23페이지, ISSN 0921-5093, https://doi.org/10.1016/j.msea.2003.10.326.
[3] 타르니차 D, 타르니차 DN, 비즈도아카 N, 멘드릴라 I, 바실레스쿠 M. 형상 기억 합금의 특성 및 의료용 응용. 롬 J 모폴 엠브리올. 2009;50(1):15-21. PMID: 19221641.
[4] Ward B, Parry J. 외측 연골 골절의 일상적인 골수 내 나사 대 판 고정. Eur J Orthop Surg Traumatol. 2025 May 31;35(1):222. 도이: 10.1007/s00590-025-04341-1. PMID: 40448862.
[5] 베랑 타부시 테헤라니, 셰르빈 샤멜리-데라크샨, 호세인 자라히, SMA를 이용한 콘크리트 기둥 및 교각의 능동적 감금에 대한 개요. 2017년 2월,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10505502_An_overview_on_Active_Confinement_of_Concrete_column_and_piers_Using_SMAs